<p></p><br /><br />한 두 사람의 문제가 아니었습니다. <br> <br>공사 직원들이 부동산 투자 성공을 보장하며 강의를 하는 사례가 여기저기서 포착됐습니다. <br> <br>이들이 수강생에게 제공하는 투자 정보가 특정 지역에 대한 부동산 투기를 조장한다는 문제도 발생합니다. <br> <br>취재 과정에서 확인한 또다른 공사 직원들의 강의 장면을 이서현 기자가 보여드립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부동산 강의 사이트에서 자신을 '소액투자의 귀재'라고 홍보한 B 씨. <br> <br>100 건이 넘는 거래를 통해 40여 곳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<br>"부동산은 2005년부터 시작을 했죠. 주택 임대사업자고요. 부동산 매매법인, 농업회사 법인의 주주이기도 합니다." <br> <br>2017년엔 관련 서적까지 출간하며 인기 강사로 자리 잡았지만, B 씨의 실제 직업은 지역의 철도공사 직원이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<br>"토지에 장기투자하는 것은 항상 물가보다는 많이 오른다…" <br> <br>취재가 시작되자 B씨는 개인 블로그에 올린 강의 동영상과 관련 글을 대부분 삭제했습니다.<br> <br>100명 가까운 수강생들을 상대로 부동산 강의를 하고 있는 이 남성은 서울교통공사의 또다른 현직 직원 C씨 입니다. <br> <br>[현장음]<br>"20년 차 아파트인데 노후화돼서 투자가치는 없습니다만, 옆에 호재가 많습니다. 싸게 놓고 싸게 먹는 지역이 ○○지역이고…" <br> <br>주말엔 자신의 수강생들과 현장 답사도 다닙니다. <br> <br>이들 모두 겸직 금지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[C 씨 / 서울교통공사 직원] <br>"(겸직 금지 규정을) 잘 몰라서…앞으로 진행하는 강의같은 것도 다 취소했습니다." <br> <br>[서진형 / 대한부동산학회장] <br>"(교통, 관광, 산림 등) 모든 개발 정보들이 부동산 가치와 연관돼 있습니다. 공공기관 직원들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시장을 혼란시키는 문제들이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." <br><br>채널A뉴스 이서현입니다. <br><br><br /><br /><br />이서현 기자 newstart@donga.com<br />영상취재: 최수연<br /> 영상편집: 방성재